주식
주식 종목 고르기 9단계 : PBR
마크야놀자
2021. 5. 30. 18:12
반응형
1. 굴뚝기업엔 PBR 판단이 중요
2. 최근 PBR 확인
3. 미래 PER가 중요. PBR 높더라도 미래 실적이 월등히 좋다면 PBR 고평가 여부는 우선순위에서 밀림
PBR = 주가/(BPS=자기자본/주식수) = 시가총액(주가X주식수)/자기자본(순자산)
PBR이 1배라는 것은 시가총액과 자기자본이 똑같으므로 회사 보유 재산과 일치하게 주식시장에서 회사가치(청산가치)를 평가받고 있는 것
PBR은 1배 이하(시가총액<자기자본)로 낮으면 낮을수록 청산가치보다 저평가이기에 좋음
바이오는 PBR이 10배 넘는 경우 많음.
당기순이익 증가는 PBR에 영향을 줌. 당기순이익 증가는 이익잉여금 증가로 이어져 자기자본 증가 결과 PBR이 낮아짐.
저PBR 굴뚝회사는 영업이익 폭등 가능성 낮음. 매년 비슷한 매출, 주가는 정중동. BUT 자산재평가를 통해 자기자본 반영하는 경우 주가 크게 상승 가능성 있음.
순현금 많이 보유한 저PBR회사도 있음.
보유현금, 우량한 재무 비율, 향후 실적 전망, 업황 성장성 등이 기대된다면 적극적 투자 대상.
땅 부자 회사와 순현금 많이 보유한 저 PBR 회사는 강세장보다 약세장에서 장점이 두드러짐.
반응형